플라자합의 뜻 배경 영향 일본의 잃어버린 30년

플라자합의 뜻 배경 영향 일본의 잃어버린 30년

1985년 9월 22일,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서독 다섯 나라의 재무장관이 뉴욕 플라자 호텔에 모였어요.


단순히 환율을 조정하자는 이야기 같지만, 결과는 세계 2위 경제 대국 일본을 30년 불황의 늪에 빠뜨린 역사적인 날이 되었죠.

왜 일본이 30년을 잃어버렸는지 지금부터 플라자합의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플라자합의

1. 플라자합의 배경... 킹달러 시대

1980년대 초, 미국이 ‘킹달러’ 정책을 밀어붙이면서 달러 가치가 하늘 끝까지 치솟습니다.

그 결과 미국산 제품이 너무 비싸져서 안 팔리고, 미국 제조업의 숨통을 죄기 시작했던 것이에요.

소니 워크맨, 도요타 자동차, 파나소닉 TV... 당시 미국 마트는 싸고 좋은 일본 제품 천지였습니다. “Made in Japan”이 곧 ‘최고의 품질’을 뜻했죠.

미국 제조업은 무너지고, 공장은 문을 닫고, 실업자가 넘쳐나자 미국이 칼을 빼 듭니다.

  • 달러가 너무 강해서 망하겠다. 달러를 약하게 만들어야 해!

하지만 혼자서는 불가능했죠. 그래서 전 세계의 큰손 다섯 나라 ‘미국, 일본, 서독, 영국, 프랑스’를 불러모읍니다.

  • 얘들아, 우리 좀 도와줘. 달러를 약하게 만들고, 너희 통화 가치는 좀 올려줘.

이게 바로 플라자합의의 시작, 그리고 세계 경제를 흔든 역사적인 거래의 서막이었어요.

2. 플라자합의... 서명

1985년 9월 22일, G5(미국, 일본, 서독, 영국, 프랑스) 재무장관들이 뉴욕 플라자 호텔에서 세계 경제를 바꾸는 문서에 서명합니다.

  • 미국의 무역적자를 줄이기 위해 달러 가치를 내리고, 일본 엔화와 서독 마르크화 가치를 높이기로 한다.

즉, 정부가 나서서 환율을 인위적으로 조작하겠다는 거예요. 보통 시장이 알아서 결정하는 환율을, 각국이 힘으로 ‘억지로’ 바꾸겠다고 선언한 겁니다.

이건 단순한 협정이 아니라, ‘경제판 핵폭탄’이었죠.

3. 플라자합의 영향... 일본을 덮친 엔고 쓰나미

플라자합의 후, 1달러=240엔이던 환율이 순식간에 120엔까지 폭락했고, 엔화 가치가 두 배로 폭등한 거예요.

이걸 ‘엔고(円高) 현상’이라고 부르는데요, 이건 일본 경제에 직격탄이었습니다.

일본은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였거든요. 그런데 엔화가 강해지자, 일본 제품이 해외에서 너무 비싸져서 팔리지 않았습니다.

기업들은 적자에 시달렸고, 수출은 급감했죠. 그때 일본 정부는 “경기를 살리자!”며 초저금리 정책을 펼칩니다.

시중에 돈을 마구 풀었죠. 그런데 문제는 그 돈이 공장으로 안 가고 부동산과 주식시장으로 몰렸다는 거예요.
도쿄 땅값은 폭등했고, 닛케이 지수는 미친 듯이 치솟았어요. 하지만 버블은 영원하지 않죠.

1990년대 초, 부동산과 주식이 폭락하면서 일본 경제는 무너졌어요. 그때부터 시작된 게 바로 ‘잃어버린 30년’입니다.

마무리하며...

플라자합의는 단순한 환율조정이 아니라 한 나라의 운명을 바꾼 경제 재앙이었습니다. 그러니 오늘 우리가 알아야 할 건 하나예요.

역사는 반복되고, 역사를 모르면 똑같이 무너진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